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#스파르타코딩클럽후기 #내일배움캠프후기
- 필사
- 코딩온라인
- 출처: 자바의 신 8장
- khaiii
- github
- expression statement is not assignment or call html
- 클라이언트사이드렌더링
- 카우치코딩 #couchcoding #6주포트폴리오 #6주협업프로젝트v
- Kakao
- 마크다운
- Morphological analysis #Corpus
- 플젝후체크
- 카우치코딩 #couchcoding #6주포트폴리오 #6주협업프로젝트
- 파이썬
- gitbash
- Technical Writing
- SSR
- 파이콘
- 비동기
- address
- PID
- terminate
- github markdown
- 자바파이썬
- Machine Learning
- 모바일웹스킨
- Anaconda
- taskkill
- 서버사이드렌더링
- Today
- Total
개발 일기
UserApiController -> 서비스 분리 본문
리팩토링을 하면서, Controller 와 서비스를 분리하는 것이 중요 과제였다.
Controller
1) 클라이언트의 요청 받음
2) 요청에 대한 처리는 서비스에게 전담
3) 클라이언트에게 응답.
Service
사용자의 요구사항 처리
DB 정보가 필요하면 Repository에 전담
Repository
-DB 관리
-DB CRUD 처리
왜 Controller/Service 구분하지?
-중복되는 코드가 생기기 때문.
-비즈니스 로직 코드가 컨트롤러에 구현되어 있는 경우 다른 컨트롤러의 핸들러 메소드에서 똑같은 로직 코드를 구현해야함. -> 중복 코드 발생/재사용정이 줄어듬.
*아래 블로그에서 명료하게 정리해주셔서 참고하였다.
출처 https://velog.io/@sezeom/Controller-Service-Repository-%EB%B6%84%EB%A6%AC-%EC%9D%B4%EC%9C%A0
참고로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는 authentication 내장 클래스다.
내장 문서를 보면, principal 과 credentials 라는 파라미터를 받는다.
Spring Security에서는 Credential 기반의 인증방식을 쓰는데, Principal을 아이디로, Credential을 비밀번호로 사용한다.
Principal 은 리소스에 접근하는 대상, Credentials 는 그 대상의 비밀번호를 뜻한다.
스프링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설명서 (intelliJ 에서 Ctrl+ 클릭)
public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(Object principal, Object credentials) {
super(null);
this.principal = principal;
this.credentials = credentials;
setAuthenticated(false);
}
스프링 AuthenticationManager 설명서
public interface AuthenticationManager {
Authentication authenticate(Authentication authentication) throws AuthenticationException;
}
authenticate 은 authenticationManager 에 내장된 메서드다.
위의 코드에서 보듯, 원래의 내장 authenticate 은 authentication 객체 하나만 들어간다.
그러니 아래와 같이 .authenticate(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(username, password));
authenticate 을 재정의 해줘야 한다.
기존 방식에서 Authenticate 코드는 Controller 에 있었다.
-> 프론트와 매핑하는 코드가 아니기 때문에, 굳이 Controller 에 있을 필요가 없다. 그냥 Service 로 옮겨버린다.
private void authenticate(String username, String password) throws Exception {
try {
authenticationManager.authenticate(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(username, password));
} catch (DisabledException e) {
throw new Exception("USER_DISABLED", e);
} catch (BadCredentialsException e) {
throw new Exception("INVALID_CREDENTIALS", e);
}
}
*원래는, toAuthenticate 이라는 또다른 메서드를 아래와 같이 컨트롤러에 만들어서 Controller 와 Service를 분리하려 했다. 애초에 프론트와 소통해서 꼭 Controller 가 Mapping 을 해줘야 하는 코드가 아니다.
그러니 이런 코드는 필요 없는 것.
private void authenticate(String username, String password) throws Exception {
UserService.toAuthenticate(username, password);
}
ResponseEntity란?
HTTP 를 상속받아 구현한다.
HTTP Request 에 대한 응답 데이터: HTTPStatus, HTTPHeaders 등을 포함함.
public class ResponseEntity<T> extends HttpEntity<T>
참고
'Java&Spring >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ditor -> File Type ] 인텔리제이에서 특정 클래스가 인식 되지 않을 때 (0) | 2022.07.08 |
---|---|
스프링 프로젝트 최종 회고록 (0) | 2021.12.31 |
S3 에 파일 업로드 (0) | 2021.12.06 |
스프링부트 Posting 통신에러 해결 - Deserialize error, 400, 500, 200 에러 (0) | 2021.12.01 |